티스토리 뷰
포트포워딩 이란?
외부에서 공유기 아래 연결된 FTP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공유기 DDNS를 설정하면 외부에서 공유기까지 접속은 가능하겠지만, 로컬 IP를 할당받은 장치까지 접속은 불가능하다.
이때 공유기에게 특정 포트로 들어오는 요청은 로컬 IP 어디로 전송하라고 알려주는 것이 포트 포워딩이다.
아래 DDNS 참조
목적
DDNS와 포트포워딩을 사용하여 외부에서 집에 있는 FTP 서버에 접속해 보겠다.
Step 1
공유기에 접속한다.
일반적으로 Gateway 주소가 공유기의 IP가 된다.
공유기 접속 후 "고급 설정 > NAT/라우터 관리 > 포트포워드 설정"을 선택
Step 2
"새규칙 추가" 선택 후 아래 항목들을 채워준다.
규칙이름 : 맘데로
내부 IP 주소 : 연결하고자 하는 로컬 PC IP
프로토콜 : TCP
외부 포트 : 외부에서 접속 요청들어오는 포트(예시에서는 21번)
내부 포트 : 로컬 PC에서 열어 놓은 FTP 포트(예시에서는 21번)
Step 3
아래 적용 버튼 클릭 후 우측 상단의 저장 클릭.
아래와 같이 새로운 규칙이 추가되었다.
내용을 다시 보면 "외부에서 21번 포트로 들어오는 요청은 내부 "192.168.219.31"번 IP의 21번 포트로 보내라"
Step 4
그럼 로컬 PC에 FTP 서버가 동작한다는 가정하에
외부에서 FTP에 접속해 보겠다.
FTP 클라이언트는 파일질라를 사용하였다.
아래 사진은 외부에서 DDNS를 통해서 내부 192.168.219.31번 IP의 21번 포트(FTP)에 접속 성공한 화면이다.
주의
포트 포워딩시 외부에서 접속 요청하는 포트는 Named Port(FTP:21번, WWW:80 등)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알려진 포트를 사용하면 공격 당할 확률이 높아진다.
포트 포워딩 시 외부 23423 포트(정의되지 않은 포트)를 내부 21번으로 연결하면 살짝 더 안전하게 사용 할 수 있다.
'PC' 카테고리의 다른 글
XP 익스플로러8 설치 (3) | 2017.01.10 |
---|---|
Windows 종료되지 않는 문제(종료 오류) (1) | 2016.10.17 |
스마트폰 VPN 설정 및 외부에서 세컨TV 시청하기 (0) | 2016.09.07 |
IPTIME 공유기 VPN 설정 (0) | 2016.09.01 |
IPTIME 공유기 DDNS 설정 (0) | 2016.08.08 |
- Total
- Today
- Yesterday
- 스크린2오토
- 샤오미
- 쿨러교체
- gokart
- 장난감 비행기
- ssd
- 덱스
- 루팅
- AA
- 업그레이드
- kart
- 캔시머
- PC소음
- 고무동력기
- 스크린투오토
- s2a
- 노트북
- 삼성
- screen2auto
- 안드로이드 오토
- 비행기
- 분재기초
- 미러링
- 하드 교체
- 메이튼
- 거치대
- 노트북업그레이드
- 블레이드 교체
- 프린터 수리
- 장난감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